혼자 그리는 그림의 추억

By | 2013-12-30

IMG_0009

 

울아버지는 경리장교였다. 난 어려서 ‘경리’라는 말이 뭘 뜻하는지 몰랐다.  어쨋든 군복을 입었으면 다 같은 군인이라 생각했기에 단어의 의미따위는 궁금하지 않았다.  아버지는 어쩌다 한번씩 나에게 아주 진귀한 선물을 가져다 주곤 했는데 거의 스케치북 만큼이나 큰 종이뭉치였다.  맨 처음 그 종이 뭉치를 받아들었을때 난 상당히 충격을 받았다.  난 그 때 이미 한글을 읽고 쓸줄 알았고 그때까지 수년간이나 낙서 등을 해왔던 터라 내 낙서나 그림이 그려질 ‘대상체’에 대해 상당한 조예가 있었다.  우리집 골목의 거친 시멘트 벽이나 약간 더 잘 사는집의 빨간 벽돌, 조그맣고 맨질맨질한 조약돌, 신문지, 거칠고 조직이 성긴 짙은 회색의 휴지, 마당화단을 둘러싸고 있는 타일, 반투명하고 볼록볼록하게 세로로 된 유리, 단단하고 붉은 빛을 띠는 흙바닥,  두꺼운 달력의 뒷면, 모조지 같이 얇은 매일 한장씩 떼어내는 어른 손바닥 만한 일력, 16절 갱지, 메리야쓰 상자, 형의 공책… 도대체 내가 모르는 소재란 있을 것 같지 않았고 난 그 소재에 따라 적절한 재료로 그림을 그려내는데 (때로는 그리고 달아나야 했지만) 탁월한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랬던 나였기에 충격은 매우 컸다.

아버지가 가져다 준 종이는 대략 5백장은 되는것 같았다.  크기는 스케치북 만했고 신기하게도 종이 양쪽에 빼곡히 구멍이 뚫려있었으며 낱장이 아니라 그 수백장이 모두 연결되어 있었고 절취선이 있었다. 종이 앞면은 새하얀 백색이었고 뒷면엔 노트같이 줄이 쳐져있었다. 난 새하얀 앞면을 보고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다. 손으로 쓸어내리니 마치 왁스를 발라놓은듯 내 손이 미끄러지는 느낌이었다.  ‘와~아~~’  정말 이건 보물이 아닐 수 없었다.  난 이걸 눈에 띄지 않는 곳에 숨겨두고 그림을 그릴때마다 한 장씩 뜯어서 사용했다.  사실 종이가 아까워 그림을 선뜻 그리지도 못했다.

그 시기의 나는 한창 전투기와 총, 칼, 군함, 탱크를 좋아할 때였고 돈만 있다면 프라모델을 사러가는 나이였다.  난 그 종이에 탱크와 비행기를 그리고 싶었지만 그 욕망을 계속 참아내고 있었다. 어느날 나는 중학생이던 형에게 샤프를 하나 물려받게 되었는데 무려 0.5mm짜리 펜탈샤프였다.  그리고 곧 영감을 받아 최고의 샤프와 최고의 종이를 제대로 이용할만한 작업에 착수하게 된다. 이른바 본부그리기 놀이는 그 때 시작되었다.

커다란 건물의 단면도를 그리는 놀이였는데 요즘같이 추운 겨울날 밖에 나가서 놀기 귀찮을때 아랫목에 배를 깔고 누워  그걸 그리기 시작했다. 매일매일 그러지는 못했지만 어쨋든 자주 그렸고 한 장을 모두 그려내는데 대략 5-6시간이 걸린 것 같다.  그림은 사실 그렇게 거창할 것이 없었다. 그냥 네모 반듯한 사각형을 그리고 그 안에 층을 나누어 각 층마다 내가 생각하는 시설들을 배치하고 방을 만들고 또 만들고 하는 것이었다.  핵심은 깨알같이 그린다는 것.   한개 층의 높이는 성인 손가락 한마디 정도였으니 대략 매번 그릴때마다 20층짜리 건물 (주로 지하 20층이었다. 왜냐하면 군사시설이기 때문에…어디서 본건 있어가지고)하나씩을 그렸나보다. 맨 처음엔 사람들이 자는 공간인 방을 위주로 그리다가 아버지 부대에 놀러갔던 경험을 살려 내무반과 행정반, 사병식당, 장교식당, 강당, 정비소, 이발소, 의무대 뭐 이런식으로 종류가 늘어나기 시작,  초등학교 졸업에 즈음해서는 그 생각이 하도 발전해서 본부내에서 잠수함과 전투정, 헬리콥터 등이 출발할 수 있게끔 배치하였고 방어적 목적의 기관포좌나 공격목적의 미사일 발사관까지 갖춘 미래형 종합 전투본부를 혼자 히히덕 거리면서 섬세하게 그리곤 했던 것인데, 스스로는 성시스틴 성당의 벽화를 몇 년간 누워서 그린 미켈란젤로와 비교하곤 했었다. 그는 천정을 보면서 누워서 그렸고 난 배를 깔고 누운것만 빼면 연수도 비슷하다 생각했었기 때문이었다.

그 그림들을 그려내는 몇 년동안 나에겐 많은 변화가 찾아온 것 같다. 일단 내 글씨가 아주 작아졌다. 그리고 어느 한군데 집중력이 생겼고, 항상 구조와 동선을 생각했기에 사람이 분석적으로 변했다.  그리고 오른쪽 세번째 손가락이 유난히 움푹 패이게 되었는데 이건 어쩔 수 없는 직업병(?)이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혼자 책을 읽는 것도 아닌데 샤프와 지우개, 종이 한장으로 5-6시간을 조용히 집중할 수 있었다는 것이 놀라웠다.  이 그림들은 언제나 혼자 그리곤 했었기에 가족들을 제외하면 친구들은 거의 본 적이 없었다.  그러다 우리집에 놀러온 한 녀석에게 우연히 그림이 발각되었는데 그 녀석은 그림을 보고 경악을 금치 못하면서 그 그림을 자기가 가지면 안되나고 조르기 시작했다. 하긴 처음보는 사람이라면 그럴만 했다.  그 한장에 거의 200명쯤의 사람을 그려넣고 100개 이상의 방과 이런저런 정교한 구조물들이 촘촘하게 그려져 있으니 그러는 것도 당현했다.   나야 뭐 그려놓은 것들도 많아서 그깟 한장 정도야 간단히 줘버렸는데 주위의 몇 몇 친구들이 어디선가 종이를 구해와서 자기집에서 본부를 같이 그리면 안되겠냐고 간곡히 요청하는 바람에  그때부터 ‘그림원정’이 시작된 것 같다.  놀러간 집의 엄마들은 우리를 정말 이상하게 생각했다. 둘이 방에 들어가서 나오지도 않고 말도없이 오줌도 참으며 5-6시간을 가만히 있으니  궁금할만도 했겠지.

난 내 그림을 잘된 그림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았다.  사람들은 내 그림을 보고 언제나 감탄했다. 아니 혀를 내둘렀다. 그 정교함과 그 뒤에 숨겨진 엄청난 노가다에 질려버린 것이었는데 난 남들이 엄두가 나지 않아 시작하지 못하는 그런 것들을 내가 먼저 시작한다면 항상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란 교훈을 그때 얻었다.  나의 본부 그림은 중학교에 올라가면서 중단되었지만 그 성향은 다른쪽으로 이어져 고등학교때는 노트필기 부문에서 거의 절정에 달한 내공(?)을 지니게 되었다.  지난번 노트대마왕에서 공개한 나의 역사노트가 그 중 대표작인 것 같다.  그러나 노트필기와는 별개로 난 재수를 하게 되었고 학원에서 나를 처음본 여학생이 내 노트를 빌리러 집요하게 따라다녔을 정도였다. (그 여학생의 노트를 보고 난 경악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 당시의 표현을 그대로 기억해내자면 백만년 공부해봤자 대학 못갈 노트였다고나 할까?)

재수까지 하면서 내가 느낀 것은 이거였다.  ‘젠장~ 노트필기 아무리 잘하면 뭐하나? 점수는 그 정성만큼 안나오는데’ 대학에 들어오면서는 내 노트필기에 대한 전통 역시 내가 스스로 무시해버린것 같다.  노트란걸 거의 안쓰다 시피했었으니 말이다.

내 어릴적 그 그림들은 완전히 없어지지 않았다고 난 생각한다.  난 정말 커다란 그림이나 지도를 손으로 그리고 싶어했고 그 욕망은 어떤 매개체가 등장하면 발현할 것으로 믿는다. 그 때 다시금 주위사람들이 놀랄만한 그런 큰 그림들을 다시 그려보고 싶다~ 요즘 어린 시절의 그 그림들이 자꾸 다시 생각나는것 보니 그게 멀지 않았음을 느낀다.

Facebook Comments

4 thoughts on “혼자 그리는 그림의 추억

  1. cyberpaul

    역시 기본기는 아날로그에서 우선 이루어진 다음 디지털을 만나 확장되는게 아닐까 싶네요
    아들 녀석에게 아이패드 보다는 연필을 쥐어주고 싶은 마음이..
    그래서인지, 문구 대마왕 잘 듣고 있습니다^^

    Reply
    1. demitrio Post author

      네 중요한건 아날로그적 감성과 사고인것 같아요 ^^

      Reply
  2. turtle

    아마도 아이에게 그 재능이 넘어가지 않았을까요?

    조금만 기다려 보세요~ ^^

    Reply
    1. demitrio Post author

      그렇게되면 참 뿌듯할거 같은데요? ^^

      Reply

demitrio 에 응답 남기기 응답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