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자의 세가지 생각정리 역량(업데이트)

By | 2013-12-17

이 글은 2015.10.19 기획자의 생각정리 역량 세 가지로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Screenshot 12월 17 13.49.44

프롤로그 

“기획자들은 어떤 능력을 갖추어야 할까요?” 강의가 끝나고 내 수업을 들었던 어떤 분이 이러한 원론적인 질문을 던졌을 때 난 간단하게 대답하기 난감했다. 할 이야기는 많았지만 그건 모두 추상적이고 원론적으로 보여져서 식상할 대답을 만들어 낼 것이 뻔했기 때문이다. 난 기획을 ‘판단하고, 표현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따라서 기획자의 역량모델을 만든다면 판단력에 대한 역량과 표현력에 대한 역량으로 크게 분야를 나누어 생각할 수 있는데 1차적으로는 판단에 대한 능력이 중요하다. 판단은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여 분석한 다음 ‘생각을 정리’하여 내놓는 결과물로서 판단 능력은 생각정리 능력과 거의 같은 말이다. 

 
 

나비넥타이 모델 : 기획의 모델

난 많은 사람들과 실습과 질의 응답을 통해서, 또한 장기간의 프로젝트를 같이 진행하면서 기획자에겐 세 가지의 생각정리 역량이 있다고 생각했다. 오늘 이 역량을 설명하기 위해 (향후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세 부분으로 이어지는 기획의 나비넥타이 모델에 대해 잠깐 이야기를 해야겠다.  난 기획의 부산물 중 하나를 보고서로 보고있다. 이 보고서는 논리구성-스토리-작성-프레젠테이션의 4단계 프로세스로 이루어 진다고 생각하며 이 중 전반부에 해당하는 논리구성-스토리 두 개를 묶어 ‘기획’이라 부른다. 그리고 그 기획과정을 그림으로 표현하라면 아래와 같은 모습으로 그려낸다.
Screenshot 12월 17 14.07.36    
기획은 이런 느낌이다. 중간에 있는 피라미드 모양의 구조체 전-후가 각각 논리구성과 스토리텔링이다. 간단히 해설하자면 이렇다. ➊-➋-➌의 순서로 기획이 전개되는데  ➊은 자료수집과 분석 단계로서 주제가 주어지면 사고의 폭을 한껏 넓혀서 조사,분석한 후 점차 정리요약해 간다.  ➋는 논리구성으로 주제에 대한 자신의 최종적인 판단을 핵심적으로 정리해 구조체를 만드는 단계다. ➌은 정리된 핵심을 다시 스토리로 풀어가는 일인데. 간단한 플롯을 구성하고 거기에 살을 붙여가며 점차 완전한 내용으로 불려나간다는 개념이다.
 

이 모델의 핵심은 ➋에 있다. 기획자들은 너무 많은 자료에 매몰되어 버리는 경우가 잦다. 이 경우엔 방향성을 잃어버리고 그저 수집된 자료만 나열해 버리고 끝내버리는 것이 최선인 것 처럼 보인다. 반드시 중간에 생각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핵심들을 정비하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반드시 표류하게 된다. 
 
 

첫번째 역량, 생각의 폭 : 넓은 시야를 갖는 일 

상사로부터 보고서의 주제가 떨어졌다. 일거리가 주어진 것이다. 기획자의 첫번째 역량은 기획의 극초반부인 바로 이 순간 나타난다. 이 주제에 대해 어떻게 접근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일이다. 아마 경험이 많거나 상상력이 풍부한 기획자라면 주제가 주어진 바로 그 순간 순식간에 주제에 대한 수 많은 접근법이 머리에 한 가득 자리를 차지할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나비넥타이 모델에서 난 주제를 받아들면 사고의 폭을 한껏 넓혀서 조사를 시작하라고 했다.  사실상 뒤에 이어질 모든 과정에 대한 사고의 폭이 결정되는 순간인데 너무 좁으면 편협성을 면치 못하게 된다. 
 
이 역량은 경험이 많은 사람, 사고가 자유로운 사람일수록 유리하다. 역량이 거의 제로에 가까운 기획자는 스스로 생각하지 않고 지시를 기다리거나 구글이나 네이버로 달려가 혹시 누군가 대신 판단을 내려주기를 기대한다. 이 방법은 시행착오를 겪고 다시 원점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크다. 전략적으로 자료에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을 표류하면서 되는대로 자료들을 건져올린 후 그걸 읽으면서 다음 행선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Screenshot 12월 17 13.50.37

주제를 받아들고 나면 위와 같이 노트에 어떤식으로 접근할 지 자료수집 분야에 대해서라도 한번 적어보라. 혼자 작업을 하는 경우라면 혼란이 덜할테지만 만약 팀으로 작업하는 경우라면 리더가 반드시 갖춰야할 ‘리더의 역량’이기도 하다.  혼자 결정하기 어렵다면 모든 팀원들을 모아 접근 방법에 대해 브레인스토밍을 거쳐라. 어떤 일이 시작되고 가장 먼저 나와야 할 노트가 있다면 바로 그 주제에 대한 접근방법을 명시한 노트가 아닐까 싶다. 
 
최초의 접근방법은 후에 자료가 수집되면서 방향이 서서히 바뀔 수 있다. 이건 당연한 것이다. 
 
 

두번째 역량, 생각의 깊이 : 의미있는 메시지를 찾아내는 일

 
첫번째 역량은 거의 백지에서 최초의 아이디어를 꺼내는 단계로 기획자간의 편차가 크다.  그런데 두번째 역량인 ‘생각의 깊이’는 세가지 역량 중 가장 비슷한 결과들을 보여준다. 10명의 기획자가 아래와 같은 동일한 자료를 수집하였다고 가정해보자. 사실 이 자료는 주관적인 의견들을 모두 제거한 사실이다. 기획자들은 이 자료를 가지고 저마다 판단을 내리게 되는데 동일한 재료를 가졌음에도 결과는 극심한 편차를 보일 수 있다. 실제로 난 이 자료를 나누어 주고 수업에 참가한 수강생들에게 이 자료에서 뽑아낼 수 있는 메시지는 모두 뽑아내 보라고 주문했다.  이 글을 읽는 여러분들도 한 번 해보길 권한다.  
 
Screenshot 12월 17 13.50.20

– 위 자료는 최진기의 인문학 특강에서 발췌한 것이다.
 
난 그 결과물들을 보면서 기획자들간의 생각의 깊이의 차가 있음을 알게되었다. 이것이 두번째 능력이다. 자료를 해석하고 거기에서 의미있는 메시지를 만들어 내는 일이다. 
상상력이 풍부한 기획자들은 일단 많이 뽑아낸다. 그리고 그를 통해 새로운 가능성에 대해 의심(추론)한다. 게다가 주어진 자료로 새로운 숫자를 창조해 낸다. 그리고 그것을 임팩트있는 메시지로 바꾸어 놓는다. 애초에 주어진 재료는 같은데 나중에 나오는 결과는 완전히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위의 자료들도 단편적으로 생각해볼 수 있는 사실은 아래와 같다. 
  • 주요 선진국 중 꼴찌
  • 꼴찌에서 2등인 독일의 60%수준
  • 일본의 절반, 미국의 1/4
나는 세 가지 정도의 메시지만 뽑아내었지만 어떤 기획자들은 열 가지 이상을 뽑아내기도 했다. 저 단편적인 사실을 통해 우리는 여러가지 느낌을 받게 되고 새로운 추론을 이끌어 낼 수 있다.
  • 우리나라 가정이 생각보다 정말 덜 쓰는구나
  • 각 가정은 엄청나게 절약중이다
  • 가정이 더 이상 전기를 아끼는 것은 무리다
기획자의 두번째 역량에 대해 위 사례로 느낌을 받았는지 모르겠다. 역량있는 기획자는 같은 자료에서 남다른 메시지를 끌어낸다. 반면 능력이 떨어지는 기획자는 1차원적인 단순 해설 이상을 벗어나지 못한다. 
 
실제 강의에서 난 한 장이 아니라 17개의 자료를 줘서 하나하나 메시지를 뽑아내어 그들을 조합하도록 하는 정리노트를 만들도록 주문했다.  그걸 형상화화면 아마 아래의 그림과 같을 것이다. 최초 사고의 폭을 넓혀서 생각한 다음. 각각의 자료를 정리해 내가면 그림과 같이 핵심이 점차 압축되는 양상을 보이게 된다.

 Screenshot 12월 17 13.51.07
 
 

세번째 역량, 생각의 함축 : 핵심을 단순하게 구성하는 일

기획자들이 필연적으로 빠지게 되는 함정은 너무 많은 정보에 매몰되어 핵심을 제시하지 못한채 정보를 그대로 나열해 버리고 끝내는 것이다.  기획자의 마지막 생각정리 역량은 전체를 꿰뚫는 핵심을 뽑아내는 일이다.  텍스트로 한다면 단 몇 줄, 거기에서 한 단계 더 전개한다해도 한 장 정도로 끝낼 수 있어야 한다. 결국 이렇게 정리가 되고 나면 자신의 주장을 1분내에 이야기할 수 있게 된다.  
난 지금까지 핵심을 단순하게 구성하는 일에 대해 주로 강의를 해왔다. 아마 이 자리에서 그 모든 방법과 과정을 얘기할 수는 없을 듯 하다.  최근까지 내가 생각하는 단순한 정리법은 아래와 같이 논리전개 전반에 대한 한 장의 다이어그램을 그려내는 것이다. (이에 대해 따로 정리하겠다) 
 
1237803_593589387365241_1489650283_n

그리고 이 능력을 기르기 위해 다른 사람들의 프레젠테이션, 문서들을 읽으며 내용을 요약정리하는 연습을 해보길 권한다. 세번째 능력은 사실 내가 남들에게 무엇인가를 전달하기 위한 능력에 그치지 않는다.  오히려 그 보다는 남의 발표와 문서들을 접하면서 그들의 핵심을 빠르게 간파하고 그에 대처하기 위해 더 요긴하게 쓰인다.  
물론 남의 발표는 해석하기 어렵다. 어떤 사람은 논리전개가 유려한 반면 또 다른 사람은 말도 되지 않는 이야기를 황당하게 전개하기도 할 것이다. 그러나 기획자는 그 상황에서도 그들이 진짜 말하고자 하는 바를 빠르게 간파하여 막바로 대처해야 한다. 어쩌면 발표하는 그 사람도 몰랐던 것을 받아들이는 내가 더 잘 정리할 수도 있다. 
 
 
 

에필로그

지금까지 기획자의 세 가지 생각정리 역량에 대해 얘기했다. 이 세가지 역량은 사실 기획자의 기본 자질과도 같은 것이다. 첫번째 역량인 생각의 폭이 문제라면 계속 협소한 생각안에 갇혀있어야 한다 그리고 협업체를 이끌고 갈 수도 없다. 어떤 현상을 다각도에서 접근하지 못한다는 것은 기획자에 있어 치명적이다. 
두번째 역량인 생각의 깊이에 대한 문제는 오늘날 생각하기 싫어하거나 매너리즘에 빠져있는 기획자들 전반에 대한 것이다. 그들은 이제 사고를 전환해야 한다. 생각하기 싫어하는 사람들은 두번째 역량개발이 더딜수 밖에 없다. 
세번째 역량은 응용범위가 매우 넓다. 회의때 남의 의견을 듣고 정리하는 것. 미팅에서 1:1로 논의하는 것. 나의 의견을 펼치는 것 등에서 광범위하게 쓰이는 능력이다.  이 세가지는 유사한 것 같으면서도 매우 다른 접근법과 응용범위를 가진다. 
이 생각정리 역량을 지나고 나면 표현력이라는 새로운 역량체계와 마주치게 되는데 이는 이건 내 스스로도 좀 더 정리가 필요한 부분같이 느껴진다. 아마 이 역시도 오늘과 같이 정리를 시도할 때가 올 것 같다.    
 
 
 
 
Facebook Comments

23 thoughts on “기획자의 세가지 생각정리 역량(업데이트)

  1. 강봉석

    ‘구글이나 네이버로 달려가 누가 판단 내려주기를’ 날카로운 지적이세요.
    포털 뿐 아니라 다른 이들의 각종 기획, 문서들의 틀 안에서 벗어 나기가 쉽지가 않아요.
    위에 반복해서 나오는 단어처럼 반복해서 연습이 반드시 필요하겠어요

    Reply
    1. demitrio Post author

      네 역시 해보는것만이 가장 좋은 트레이닝 방법이에요

      Reply
  2. seachicken

    두번째 역량에서 이런 저런 논리를 끌어내기 위한 일반적인 기준의 예를 제시해 주시면 더 좋을 거 같습니다. 일단 상대평가를 하고 있는 건 보여 오는데요, 그 외에도 몇가지 더 정의가 가능할 듯 한데…

    Reply
    1. demitrio Post author

      메시지를 끌어오는 것에 대한 이야기는 정식으로 한번 드릴예정이었어요. 아마 그 소개자리에서 궁금하신것 뿐만 아니라 이자리에서 소개하지 못한 다양한 변수 등을 추가로 얘기할 수 있을것 같아요

      Reply
  3. saramdaum

    나비넥타이 모델!! 상당히 깔끔히 정리해 주셨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Reply
    1. demitrio Post author

      감사합니다~ 언제나 뭔가를 명명하는 것이 가장 힘든것 같아요 ㅎㅎ

      Reply
  4. Eric Jaeho Jung

    각종 기획 14년… 해도해도 어려운 일인데 T.T, 심플하게 정리해 주셨어요. 오늘부터 적용, 실행^^

    Reply
    1. demitrio Post author

      저도 회사 다니고 있을 당시엔 잘 생각나지 않았어요. 오히려 최근 몇년동안 백수같이 이리저리 다니며 떠오른 생각들이 더 많은것 같습니다. 너무 바쁜 생활이 아닌걸 다행으로 생각하고 있어요

      Reply
  5. Ahn Youngil

    깔끔한 정리에서 압축적으로 많은 배움 얻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잘 부탁드립니다. 파이팅!!

    Reply
    1. demitrio Post author

      ^^ 안영일님, 오히려 제가 배워야할 부분이 더 많은것 같아요 ~ ㅎㅎㅎㅎ

      Reply
  6. Park Hyun Jung (@shizstory)

    좋은 글이네요.. 뭔가 묘한 공감대를 느끼고 갑니다. 순간순간 느끼던 내용들이 있어서 일지도..그래도 저는 절대 이렇게 일목요연하게 정리는 못하겠던데..대단하세요!!^^ 자주 와서 보고 배우겠습니다 😀

    Reply
    1. demitrio Post author

      감사합니다~ 저도 이걸 정리하는데 시간이 정말 오래 걸렸어요. 어느날 생각이 났을때 휘리릭~ 흘려쓴거죠~ 생각이 달아나기 전에요 ^^

      Reply
    1. demitrio Post author

      조금 답변이 늦었죠? 물론 링크는 적극 환영이랍니다 ^^

      Reply
  7. Brad7000ft

    뉴스피드에 인색한편인데 여기 포스트된 글을 읽고는 바로 피드추가했습니다. 항상 고민하던 문제에 대해 다시 정리할 수 있는 계기가 된 듯합니다. 감사합니다^^ 앞으로 많이 배우도록 하겠습니다.

    Reply
  8. 김세훈

    간단 명료하게 정리된 글 감사히 읽었습니다..

    Reply
    1. demitrio Post author

      댓글 감사합니다 ^^ 이렇게 남겨주시는 분들 덕분에 힘을냅니다

      Reply
  9. 김민경

    좋은글감사합니다! 이 글보면서 틀을 잡아가려고 노력중입니다 🙂

    Reply
    1. demitrio Post author

      답글이 너무 늦어 죄송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Reply
  10. Pingback: 기획자의 세가지 생각정리 역량 – 혼자 가는 먼 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