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포인트 블루스 아홉번째 이야기
표를 그리는 팁 몇가지
‘표’는 직장생활의 보고서에 있어 항상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골메뉴다. 엑셀이나 워드에서 작성하는 표는 파워포인트에서 그려낸 표의 느낌과는 다르다. 딱딱하게 작성된 표들은 내용마저도 딱딱해보인다.

<그림 1> 딱딱함의 전형을 보여주는 표
필자 역시 표를 작성하면 처음에는 저런모습이다. 그러나 여기에 몇가지 터치만 해주면 표가 약간 달라진다.

<그림2> 간단한 튜닝작업을 한 표
- 좌우의 라인을 없앤다 : 답답함이 한결 풀린다
- 점선을 사용한다 : 중간의 가로줄을 점선으로 바꾸면 내용이 강조된다
- 라인의 굵기(강/약)를 조정한다 : 표의 내부는 0.75이하의 라인, 테두리는 1
- 헤드라인에 엷은 색을 넣어준다 : 표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위의 4가지는 표를 그릴때마다 거의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작업들이다. 투입되는 시간대비 효과가 좋은 편이고 내용에 더욱 집중하게 만들 수 있다.
표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표를 만들어 낼수도 있다. 아래의 <그림3>과 같이 도형을 이용해서 직접 그려두는 방법이다. 시간이 더 주어진다면 필자는 아래의 방법을 가장 선호하는데 ‘표기능’에 구애받지 않고 내용을 강조하거나 꾸밀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림3> 도형으로 해결하는 방법
위와 같은 표는 여러 대안들을 비교할때 사용할 수 있는 전형적인 형식이지만 표가 다 위와 같은 형식인 것은 아니다. 장담하건데 <그림4>와 같이 많은 항목을 어쩔 수 없이 표로 나열해야 하는 경우가 생길것이고 이미 경험했을 것이다.

<그림4> 많은 항목들을 보여주어야 하는 경우

<그림5> 얼룩무늬를 주어 시인성을 높인 표
<그림3>,<그림5>와 같은 표들은 아직까지 강조점이나 포인트를 주지 않은 베이스에 불과하다. 이것은 마치 화장을 하는 과정과도 같다. (화장에 대해서 잘은 모르지만..) 아마 기초화장을 잘 했다면 실제로 개성을 살리기 위한 색조화장 또한 제대로 부각될 것이다.
따라서 표작성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색조화장의 결과를 <그림6>에서 확인해 보자. <그림5>의 건조했던 표가 이제야 뭔가 의미를 부여받았다. 작성자가 ‘6위를 달리는 토트넘 핫스퍼의 득점력’에 대해 언급하려 한다는 것을 누구나 알 수 있다.

<그림6> 표에서 말하고자 하는내용을 부각
표가 정말 간단하다면 굳이 복잡한 내용 중 어느 하나를 강조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표를 ‘튜닝’할 수 있는 포인트가 있다. 필자가 표에 대해 가지고 있는 기본원칙은 ‘없앨 수 있는 라인은 없애고 내용에 집중한다’이다.

<그림7> 내용이 간단한 표

<그림8> 중간의 가로줄을 모두 없앴다

<그림9> 세로줄까지 모두 제거한 표
2008-05-08 at 4:59 오전
오~홋! 좋은 포스트입니다.
저도 파워포인트에는 가급적 표 기능을 쓰지않고 도형으로만 표를 만드는데,
마지막 표처럼하는 것은 생각 못해봤군요.
깔끔하고 좋습니다.
2008-05-09 at 2:31 오전
표에 대한 예재를 더 많이 보여드리려고 했는데 실전적인 자료들은 많지만 모두 실제 (보안을 요구하는) 보고서들이라 내용을 공개하기는 어렵더군요. 결국 예재를 하나하나 만들어내야 하는데 시간이 여의치 않고 귀차니즘이 고개를 들어서 번번히 많이 못보여드린답니다~
찾아주셔서 감사드립니다
2008-05-08 at 7:03 오전
친절하고도 너무 유용한 내용들입니다.
초보자의 파워포인트를 Upgrade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08-05-09 at 2:32 오전
앞으로도 계속 실전에 곧바로 적용할 수 있는 팁들을 찾아서 소개하겠습니다~ 격려말씀 고맙습니다 ^^
2008-05-08 at 8:01 오전
오우 매우 유용한 포스트입니다 ^^
숙지 해둬야겠군요 ㅎㅎ
2008-05-09 at 2:33 오전
네 자주 찾아주세요 모노로리님, 격려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런 답글로 다음 포스트를 쓸 에너지를 얻는달까요 ^^
2008-05-08 at 10:00 오전
정말 좋은자료네요^^
잘 보고 갑니다^^
나도 익혀서 써먹어야징^^;ㅋ
2008-05-09 at 2:35 오전
감사합니다 에코님~ 자주 들러주세요. 질문도 좋고 다루어주었으면 하는 주제를 요청하셔도 좋습니다~
2008-05-08 at 11:20 오전
매우 좋은 팁입니다. 감사합니다. ^^
2008-05-09 at 2:36 오전
감사합니다 토이솔져님. 작성하면서 너무 누구나 다 아는 팁이 아닌가 하고 걱정했는데 언제나 제 예상과는 반응이 다르네요 ^^ 자주 들러주세요
2008-05-08 at 12:16 오후
와우…~
전문가의 가벼운 손길하나에 확! 달라 보이는 군요..^^;
2008-05-09 at 2:37 오전
전문가라고 하기에는 아직까지는 갈길이 먼것 같습니다 허허…칭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지금 고래같이 춤추고 있습니다 ^^
2008-05-08 at 2:12 오후
정말 좋은 정보네요
표를 어떻게 디자인하는냐에 따라서 이렇게 달라지다니
오늘 많은 것을 배웁니다. 정리해 두어야겠습니다.^^*
출처 밝히고 제 블로그에 담을게요~
구독신청입니다.
2008-05-09 at 1:32 오전
앗, gostopgo90님. 당사자도 아닌 제가 딴지 걸긴 좀 그렇지만, 이 블로그 CCL은 “변경금지”로 되어있다는….컨텐츠를 활용하기 전에 CCL을 확인해보자는 취지에서 딴지 살짝 걸어봅니다. ^^;
2008-05-09 at 1:39 오전
제가 잘 몰랐습니다.ㅠㅠ
포스트 삭제해야겠네요^^*
2008-05-08 at 2:19 오후
아주 유익한 포스팅입니다.
2008-05-09 at 2:38 오전
감사합니다~ 격려가 저에게는 힘이되고 에너지가 된답니다~
답글이 달리는 것을 보면 유명인의 낙관이 많이 찍힌 그림과 같다는 생각이 들어 뿌듯하답니다
2008-05-08 at 2:33 오후
아아.. 좋은 팁입니다. 앞으로 표 디자인할때 주구장창 써먹어야..;;
고맙습니다~
2008-05-09 at 2:40 오전
네네 혜란님~ 답글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줄구장창 써먹을 팁들을 더 연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2008-05-09 at 1:40 오전
좋은 팁이예요.. 가려운 데를 긁어주는 느낌이네요 ^^
2008-05-09 at 2:40 오전
가끔 가려운데를 직접 말씀하시는 것도 괜찮습니다 티미님~ 답글 감사드립니다 자주 들러주세요
2008-05-09 at 2:28 오전
/to All
이번 연재물은 시간적인 압박때문에 사실 후다닥~ 작성을 마쳐서 쓰고나서는 스스로 너무 부실해보여서 걱정을 했답니다.
그런데 언제나 이렇게 한번에 휘갈겨쓴 포스트들이 반응이 좋은것 같습니다. 장고끝에 악수라고 많이 숙고한 끝에 나오는 글들이 더 복잡하고 정곡을 찌르지 못하는 것 같군요. 앞으로는 정말 생각날때마다 후다닥~ 작성하는 버릇을 들여야 할까봅니다. 답글남겨 주셔서 너무들 감사합니다.
/gostopgo90님께..
포스트를 삭제하실 정도는 아닌것 같습니다 ^^
2008-05-21 at 3:52 오전
이번에도 좋은 팁 하나 얻어 갑니다.
표를 작성하면서도 간단한 방법으로 멋진 효과를 얻을 수가 있네요.
감사합니다.
2008-05-22 at 5:49 오전
감사합니다~ 자주들러주세요
2008-05-21 at 10:20 오전
정말 좋은 말씀입니다.
2008-05-22 at 5:54 오전
아 감사합니다~ 자주오셔서 댓글달아주세요 ^^
2008-05-26 at 4:49 오전
좋은 정보 얻고 갑니다…^^
저도 PT에 웬만하면 표를 넣지 않을려고 노력하는데….. 이렇게 잘 보이게 만들어진다면 좋을것 같습니다….^^
2008-05-26 at 5:31 오후
^^ 답글 감사드립니다. 표를 사용하지 않는것도 참 힘든 노릇이더군요 ^^ 자주 들러주세요
2008-05-26 at 1:36 오후
같은 표라도 확 달라지는군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2008-05-26 at 5:33 오후
감사합니다~ 자주 들러주세요 ^^
2008-06-09 at 4:48 오전
와우, 정말 좋은 글이군요.
2008-06-09 at 1:12 오후
~ ^^ 감사합니다. 좋은 그림에 많은 낙관이 찍히듯 글에 댓글이 달린다는 것은 기분좋은 일인것 같습니다
2010-06-30 at 2:12 오전
잘봤습니다. 자주 들리겠습니다~
2010-11-03 at 11:33 오전
최고세요.. ^^
2010-11-04 at 2:19 오전
감사합니다~ 바로위 dawnwalker님두요 ^^